지난달 미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약 2년 만에 둔화되어 최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이달 회의에서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예상되어 더욱 강한 신호가 되었습니다.
미 노동부는 5월 헤드라인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대비 4.0% 상승했다고 13일 발표했습니다. 이는 4월 상승률(4.9%)이나 월가 전망(4.0~4.1%)보다 낮은 수치입니다. 또한 이는 2021년 3월 이후 약 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것입니다.
전월 대비 상승률은 0.1%로, 이는 전월치(0.4%)나 월가 전망(0.2%)보다 낮았습니다.
이로써 헤드라인 CPI 연간 상승률은 지난해 6월에 기록한 9.1% 고점 이후 11개월 연속으로 하락세를 이어갔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연준의 목표인 2% 수준보다 두 배 가량 높게 유지되고 있습니다.
에너지와 식품을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지수(CPI)는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전년 대비 5.3%, 전월 대비 0.4% 상승하여 4월 수준과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이는 월가의 전망과 일치합니다.
에너지 가격은 전월 대비 3.6% 하락하였고, 식품 가격은 0.2% 상승했습니다. 주거비는 전체 CPI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하는 요소로 0.6% 상승하여 전체 헤드라인 수치를 끌어올렸습니다.
또한 중고차 가격은 4월과 5월 모두 4.4% 상승하였으며, 교통서비스 물가도 0.8% 상승하였습니다.
미 국채 금리는 예상보다 둔화한 인플레이션 수치에 따라 시장에서 금리 동결 가능성이 높아져 하락하였습니다. 주가지수 선물은 상승세를 보이며 상승폭을 확대하였고, 미 달러화는 0.5%대로 약세를 나타내었습니다.

미 연준 회의 전 현재, 금리 동결 가능성이 95.3%로 반영되었습니다. 이는 이전에 비해 금리 동결 전망이 강화되었음을 나타냅니다. 또한 9월에는 금리 인하 가능성이 63.1%로 반영되고 있으며, 이는 이전에 비해 증가한 수치입니다.
CPI는 연준이 통화 정책을 결정할 때 참고하는 핵심 지표 중 하나로, 광범위한 제품과 서비스의 가격을 측정합니다. 내일까지 열리는 FOMC 회의 이전에 CPI와 함께 14일에 발표될 생산자물가지수(PPI)도 중요한 인플레이션 데이터입니다.
지난 5월 FOMC에서 연준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여 10회 연속 금리 인상을 진행했습니다. 그러나 정책결정문에서 추가 긴축 가능성에 대한 언급을 삭제하면서 금리 인상 국면이 점차 끝나가는 것으로 시사되었습니다.
이를 반영이라도 하는 듯 3대지수 모두 순조롭게 상승중입니다.

'미국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성장 주식 이해와 종목 탐색 (0) | 2023.07.06 |
---|---|
테슬라 신흥 산업의 미래를 주도하다. (0) | 2023.07.05 |
인플레이션 시대에 서비스업 PMI가 낮으면 좋은이유 (0) | 2023.06.06 |
테슬라 3분기 시장점유율, 향후 전망 (3) | 2022.12.01 |
미국실물경제협회(NABE) GDP 0.1% 하향전망, 연준발 경기침체 경고 (0) | 2022.10.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