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2월 14일 미국 증시 마감 시황: 기술주 강세 속 혼조세
금일(2월 14일) 미국 증시는 혼조세를 보이며 마감했습니다. 기술주가 강세를 보이며 증시는 3주 만에 첫 주간 상승세를 기록했지만, 소매 판매 부진이 부담으로 작용하며 제한적인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 주요 지수 동향
S&P 500 지수: 0.01% 보합
나스닥 100 지수: 0.41% 상승 → 신고가 경신
다우존스 지수: 0.37% 하락
👉 나스닥이 강세를 보이며 2만 선을 다시 회복한 것이 눈에 띄는 부분입니다.
🔹 기술주 강세 속 주요 종목 움직임
✅ 메타(META): 20거래일 연속 상승
✅ 델(Dell): 일론 머스크의 AI 스타트업 xAI와 50억 달러 규모의 서버 계약 임박 소식에 급등
✅ 인텔(INTC): 금요일 하락했지만 2000년 이후 최고의 주간 마감 실적 기록
기술주 중심의 상승세가 이어졌지만, 전체 시장이 이를 따라가지는 못한 모습이었습니다.
🔹 소매 판매 부진, 소비 둔화 신호?
1월 미국 소매 판매 지표는 거의 2년 만에 최대폭 하락하며 시장에 충격을 주었습니다.
🔻 1월 소매 판매 (-0.9%)
→ 예상치(-0.2%)를 크게 하회
🔻 통제 그룹 소매 판매 (-0.8%)
→ 휘발유, 건축자재 등 변동성이 큰 품목을 제외한 소비 지표도 감소
👉 이는 2024년 말 소비 호황 이후 소비자들이 지출을 줄이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특히, 온라인 쇼핑(-1.9%)도 감소하며 단순한 계절적 요인이 아닌 소비 둔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채권 시장 및 금리 전망
📉 10년물 국채 금리: 4.47%로 하락
📉 2년물 국채 금리: 4.26%로 하락
👉 소매 판매 부진으로 인해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다시 살아나면서 채권 시장은 강세를 보였습니다.
💬 전문가 의견
✔️ 데이비드 러셀(TradeStation)
"소비자 심리 데이터가 불안감을 보여줬고, 부진한 소매 판매 지표가 이를 확인시켜줬다. 하지만 이는 연준에게 좋은 소식이며 금리 인하 가능성을 높인다."
✔️ 호세 토레스(Interactive Brokers)
"소매 판매 부진으로 인해 금리 인하 가능성이 다시 열리고 있다."
🔹 국제 이슈: 트럼프의 관세 정책과 글로벌 증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상호 관세'**를 도입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시장에 긴장감을 불러왔지만, 4월 이전에는 발효되지 않을 것이라는 점에서 시장은 다소 안도하는 분위기였습니다.
한편, 중국에서는 시진핑 주석이 마윈(알리바바 창업자)을 만날 예정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며 홍콩 증시가 3.7% 급등했고, 유럽 증시는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 기대감으로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 하지만 미국 증시는 이러한 글로벌 호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모습이었습니다.
🔹 마무리: 향후 시장 전망
📌 소매 판매 부진이 일시적인 요인인지, 경기 둔화의 신호인지 2월 데이터를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 연준의 금리 정책과 트럼프의 무역 정책이 시장 변동성을 키울 가능성이 있음.
📌 기술주 중심의 강세가 이어질지 여부가 향후 시장 흐름을 결정할 중요한 요소.
👉 향후 시장은 금리 인하 기대감과 소비 둔화 신호 사이에서 균형을 찾는 과정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 최신 증시 동향과 투자 전략이 궁금하다면 좋아요 & 구독으로 업데이트를 받아보세요! 😉
'미국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증시 반도체 강세와 지정학적 기대감 속 상승 마감 (3) | 2025.02.19 |
---|---|
차세대 원자로 SMR 투자 전략 : 유망 기업과 ETF 분석 (3) | 2025.02.17 |
미국 증시 - 생산자 물가지수 시장 영향 제한적 (4) | 2025.02.14 |
미국 증시 CPI 상승에 따른 시장 반응은? (2) | 2025.02.13 |
2월 11일 뉴욕 증시 분석: 보합세 유지, 국채 금리 상승, 트럼프 관세 영향 (3) | 2025.02.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