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주식

테슬라(Tesla) '어닝 서프라이즈' 시간외 급등

by 우공이부 2022. 4. 21.
반응형

요약

테슬라 올 1분기 실적 어닝 서프라이즈 기록
매출 187억 6000만 달러, 주당순이익 3.22달러 기록
마진 32.9%, 시간외 거래 5.5% 이상 급등

출처 픽사베이 테슬라 2022년 1분기 어닝서프라이즈

테슬라는 현지시간 20일 장마감후 2022년 1분기 실적 발표를 했습니다. 매출 187억 6000만 달러(약 23조 1천500억 원)를 기록해 지난해 같은 기간 103억 9000만 달러보다 81% 증가했습니다. 월가 전망치인 178억 달러를 큰 폭으로 웃돌며 어닝 서프라이즈를 냈습니다.

 

이날 테슬라는 장이 끝날때까지 4% 넘게 하락을 했었는데요 실적 발표 후 5%가 넘는 상승을 하며 넷플릭스가 싼 똥을 확실히 치워주는 저력을 보여주었습니다. 

 

많은 분들이 1분기 상하이 공장 폐쇄가 2개의 신규 공장 생산 개시와 함께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궁금했었는데 다행히 상하이 공장은 닫았다가 다시 열게 됐고 생각보다 더 큰 생산량을 보여줬다고 합니다.

 

TSLA의 1분기 순이익은 33억2000만달러 한화 약 4조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이 역시 전년 동기 대비 7배가량 늘어난 실적입니다. 매출 총이익률은 32.9%에 달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고 주당순이익 역시 시장 전망치인 2.26달러를 넘어선 3.22달러로 집계됐습니다.

 

이렇게 매출과 이윤이 상승한 이유는 차량 인도량이 증가했고 자동차의 ASP(Average Selling Price)가격상승 때문입니다. 테슬라의 1분기 차량 인도량은 31만 48대로 파악되었습니다. 또 테슬라 전기차 부문 매출은 168억 6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87% 증가했습니다. 전체 인도량의 95%는 보급형 전기차인 테슬라 모델 3과 모델 Y가 차지했습니다. 또 보고서를 보면 인플레이션으로 각종 원자제 가격이 올랐는데도 불구하고 자동차 제조비용이 절감되었다고 나왔고 주식 베이스 보상 절감, 탄소배출권 등 여러 가지 규제 관련 크레디트 판매 상승 등으로 이윤이 상승했다고 합니다.

 

그래도 지정학적 위기가 지속되면서 원자재가격 변동성이 크며 운영 관련 비용이 상승하는 부분은 회사의 지출을 늘리며 마진을 깎아먹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합니다.

 

베를린 공장은 3월부터 제조에 들어갔었습니다. 베를린 기가펙토리에서는 2170셀과 4680셀 둘 다를 만들 예정이라고 합니다.

또 자율주행기술 (FSD) 관련한 내용도 들어있었는데요요. 이미 7번의 소프트웨서 업데이트가 있었고, FSD 베타를 모든 FSD 유저들에게 이번해가 가기 전까지 배포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또 장거리 운전 Capacity를 증가와 비용 절감을 위해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쓰는 비중을 반 이상으로 늘렸고 현재 거의 모든 차에 LFP를 사용하려고 하고있습니다. 이 부분은 지속적으로 언급이 되었었죠. 이건 최근에 급등하는 니켈값 때문이기도 합니다. 대부분의 완성차 업체들은 기존의 니켈 코발트 망간(NCM) 배터리를 전기차에 주로 탑재하는데 테슬라는 역시 한발 빨리 움직이고 있습니다. 

 

2분기 전망에 대해서는 상하이 공장 가동 중단으로 인한 생산량 제한이 발생하고 있지만 일부 가동이 재개되고 있으며 최대한 빨리 원상태로 돌려놓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일론머스크는 여전히 대기 수요가 많아 올해 150만 대 이상의 차량을 생산할 수 있을 것이지만 수개월의 대기 기간이 필요하며 일부 주문은 인도시기가 내년까지 미뤄질 수도 있다고 고말했습니다. 

2분기 차 생산량은 1분기와 비슷할것이지만 3,4분기의 생산량은 1분기보다 많이 높을 거라는 긍정적인 전망을 내어놓았기 때문에 시간외에서 주가가 더 크게 상승했다고 생각됩니다. 또 자율주행과 로보 택시에 대한 언급도 있었는데 패들과 스티어링 휠이 필요 없는 로보 택시용 자동차를 생산할 예정이라니 이것도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테슬라 보험과 공급망 이슈와 원자재 인건비등의 상승에 따른 자동차 가격 상승 문제에 대한 언급도 있었기 때문에 앞으로 꾸준히 관심을 가지고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반응형

댓글